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융의 이론
    인간심리학 교육 2023. 6. 16. 23:41

    (1) 주요 개념

     

    융의 이론은 무의식에 강조점을 두었다는 점에서 정신분석 이론과 유사하지만

    인간에 대한 관점은 매우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융의 이론에서 인간의 행동은 개인적인 것과 종족의 역사 (인과론), 목적, 욕망 (목적론) 에 따라 좌우된다고 보기 떄문에

    결국 실재했던 과거와 가능성을 지닌 미래가 동시에 인간의 현재 행동을 이끈다는 것이다.

     

     

    1 - 성격구조

     

    1. 자 아

     

    자아 ( ego ) 는 의식적인 마음으로 의식적 지각, 기억, 사고와 감정으로 구성되어 있어

    자신에 대한 의식뿐만 아니라 외계에 대한 지각도 포함한다.

     

     

     

     

    2. 개인적 무의식과 집단적 무의식

     

    융의 무의식이 두 개의 층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하였다.

     

    하나는 개인적 무의식 ( personal unconsciousness )으로 여기에는 상실된 기억이나

    억압된 불쾌한 여러 표상 등 의식 위에 올려지지 않은 내용들이 포함된다.

     

    개인적 무의식의 자료들은 자아와 지속적으로 상호작용하여 꿈 따위로 지각되는데,

    이는 프로이트의 전의식과 유사하다.

     

    개인적 무의식 속에 하나의 공통된 주제에 관한 감정, 사고, 지각, 기억 따위의 조직된 무리를 융은

    복합 ( complex ) 이라 하였다.

    예를 들면, 모성복합 ( mother complex ) 은 어머니에 관한 생각,감정, 기억 따위가 핵심으로 모여 복합을 형성한 것이다.

    복합은 전적으로 무의식이므로 자아는 복합의 지배를 받는다는 사실을 깨닫지 못한다.

     

    또 다른 층의 무의식이 집단무의식 ( collevtive unconsciousness ) 이다.

     

    이는 모든 인류에게 유전되어 오는 잠재된 기억의 저장소이다.

     

    집단무의식이 존재한다는 증거는 멀리 떨어진 지역에서의 상징신화들이 서로 비슷하다는 것이다.

    집단무의식이 조직적으로 구성 되어 있는 형태를 원형 ( archetpes ) 이라 하는데,

    이는 세계 여러 민족의 신화, 예술, 종교 따위에서 발견되는 공통된 이미지에서 그 존재를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민족이나 태양과 관한 신화가 있고 뱀이나 어둠에 대한 두려움이 있는데

    이는 경험 이전의 것으로 융은 이것을 원시시대로부터 전승된 기억의 산물이라고 하였다.

     

     

     

     

     

     

    3. 페르소나

     

    페르소나 ( persona ) 는 자아의 가면으로 개인이 외부에 보이는 이미지이다.

    우리의 페르소나는 역할에 따라 달라지는데

    예를 들어, 한 남자가 사업가로서 동료에게 주는 이미지와

    아버지로서 자식에게 주는 이미지는 다르다.

     

    따라서 페르소나는 사회가 그에게 부과하는 역할이며

    사회가 인간에게 생활에서 담당하기를 기대하는 배역이다.

     

    따라서 페르소나의 목적은 남에게 뚜렷한 인상을 주는 것이며

    반드시 그렇지는 않지만 이따금 그 사람의 본성을 감추기도 한다.

     

     

     

     

     

     

    4. 아니마와 아니무스

     

    인간이 본질적으로 양성이라는 것은 이미 잘 알려져 있는 사실이다.

     

    따라서 인간은 남성적˙여성적 측면을 모두 가지고 있다.

    하지만 남녀는 유전자의 성 차이와 사회적 압력에 의해 여성은 여성적 측면을,

    남성은 남성적 측면을 발달시키도록 요구받아 실제 뚜렷한 성 차이를 보이지만

    상대 성은 무의식 속에 자리 잡고 있다.

     

    무의식 속에 있는 남성의 여성적 측면을 아니마 ( anima ) , 여성의 남성적 측면을 아니무스 ( animus ) 라 한다.

     

    자기 속에 아니마와 아니무스가 있기 때문에 인간은 이성에게 적절히 반응하고

    이성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5. 음영

     

    음영 ( shadow ) 은 의식에서 도외시되는 동물적 본성으로

    자신이 용납하기 어려운 특질과 감정들로 구성되어 있어 대부분 자기상 ( self - image ) 과 반대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음영은 긍정적인 자기상과 반대되는 부정적인 것으로 이는 가끔씩 꿈속에 나타나기도 하는데

    예를 들어, 남자가 흉악한 살인자의 꿈을 꾸거나 여자가 창녀의 꿈을 꾸는 것은 

    음영이 투과된 결과라 할 수 있다.

     

    결국 음영은 의식에서 불쾌한 생각, 감정, 행동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6. 자기

     

    자기 ( self ) 는 성격의 상반된 측면들을 균형 있고 조화롭게 만들려는 내적 충동으로

    중심성, 전체성에 대한 무의식적 갈망이다.

    즉, 자기는 성격의 중심으로 성격의 통일성과 인간성을 제공하게 된다.

     

     

    '인간심리학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아제의 이론 개념  (0) 2023.06.20
    융의 이론 2 - MBTI  (0) 2023.06.17
    아들러의 이론  (0) 2023.06.13
    에릭슨의 이론 2 - 심리 사회적 발달 이론  (1) 2023.06.12
    에릭슨의 이론  (0) 2023.06.11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