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에릭슨의 이론
    인간심리학 교육 2023. 6. 11. 23:34

    (1) 주요 개념

     

    에릭슨의 이론은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이론에 바탕을 두고 있지만

    프로이트와 달리 성격이 일생을 통해 발달한다고 가정하며 자아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현상을 고려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프로이트처럼 에릭슨은 기본적으로 인간의 행동이 생물학적 요인에 의해 동기화 된다고 보지만

    발달은 사회적 관심에 대한 욕구와 환경을 통제하고자 하는 욕구 따위의 사회적 요인에 의해 자극받는다고 보았다.

     

    그렇다고 하여 무의식적 갈등이 없다는 것은 아니며, 다만 성격발달의 주요 초점이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있다고 본다.

     

    에릭슨에게 있어 자아는 환경에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는데 자아가 환경을 지배하고자 하는

    자아통제 ( ego mastery ) 가 그의 주요 개념이다.

     

     

    에릭슨은 정신병리가 심리사회적 발달에서 오는 신체, 심리, 사회적 측면의 갈등에 적절히 대처하지 못했기 때문에

    발생한다고 보고 자신의 발달위기에 적절히 대처하지 못했다는 것을 깨닫는 통찰력 증진이 치료의 일차적 목적 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통찰력을 바탕으로 환경과 활발하고 긍정적으로 상호작용하고 환경에 대한 자아지배력을 회복함으로써

    증상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2) 발달단계

     

    에릭슨의 발달단계는 심리사회적 ( psychosocial ) 발달단계라 한다.

    그 이유는 인간발달이 생물학적인 성숙으로 인해 자극되고, 이러한 성숙을 바탕으로 잠재력을 개발할 수 있는

    사회적 여건이 충족되어 각 단계에서 직면하는 위기를 극복하면 건전한 자아발달이 이루어진다고 보기 때문이다.

     

    결국 사회적 요인이라 할 수 있는 사회제도와 주변 사람들이 개인의 발달에 긍정적인 지지를 제공하며

    건강한 성격을 갖춘 개인이 다시 사회를 풍요롭게 한다는 것이다.

     

    또한 프로이트와 달리 에릭슨은 문화적 다양성을 존중하였다.

    어떤 문화는 다른 사람을 신뢰하고 관대한 사람이 되도록 하기 위해 오랫동안 모유를 먹이는가 하면

    다른 문화에서는 의존적이지 않은 독립적인 사람이 되도록 하기 위해 매우 일찍 이유를 실시하기도 한다.

     

    이런 문화적 다양성의 영향을 인정하고 있다는 점이 프로이트와 다르다.

     

    에릭슨은 프로이트의 5단계 이후에 3단계를 더 추가하여 노년기까지 총 8단계에 걸쳐 발달한다고 보면서

    각 단계마다 극복해야 할 심리사회적인 위기를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위기는 모든 사람들에게 보편적인 현상이지만 문화에 따라 이를 해결하고 지지하는 방식이 다를 수 있다.

     

    각 단계의 모든 위기는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이 한 쌍을 이루어 제시되어 있는데,

    긍정적인 측면이 더 많이 발달되어야 하지만

    부정적인 측면 역시 전혀 없어서도 안 된다.

     

    또한 심리사회적 위기를 극복하면 그 결과 각 단계마다 자아의 특질,

    즉 기본적인 강점을 얻게 되지만 반대로 이러한 위기를 적절히 해결하지 못했을 경우 병리적인 문제가 나타나게 된다고 하였다.

     

     

     

     

     

    '인간심리학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융의 이론  (0) 2023.06.16
    아들러의 이론  (0) 2023.06.13
    에릭슨의 이론 2 - 심리 사회적 발달 이론  (1) 2023.06.12
    프로이트의 이론 2  (0) 2023.06.10
    프로이트의 이론  (7) 2023.06.09

    댓글

Designed by Tistory.